본문 바로가기
Car Life Tip/자동차 상식

자동차 라이트 조작법과 종류 표시 상황에 맞게 켜는법, 끄는법 [전조등, 상향등, 하향등, 오토, 안개등,미등, 데이라이트]

by cherryred 2023. 4. 12.

오늘도 안녕하세요!! 체리레드입니다. 이제 막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해 자동차에 입문한 초보 운전자분들은 운전대를 잡는 게 아직은 서툴거나 어색하고 낯설 텐데요. 처음 운전석에 앉으면 알 수 없는 장치들과 조작법들 때문에 헤매시는 분들 또한 상당히 많겠죠?? 오늘은 다양한 자동차 기능 중 야간 운전에 꼭 필요한 자동차 라이트 조작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초보 운전자분들은 자동차 라이트 켜는 법을 잘 알아두셨다가 적절하게 사용해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라이트 조작법 (헤드라이트 키는법)

자동차 라이트 스위치는 스팅어링 휠(자동차 핸들) 좌측에 있으며 라이트 스위치는 레버를 돌리거나 밀어서 라이트를 켜는 방식과 다이얼을 돌려서 라이트를 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쌍용자동차, 삼성자동차는 헤드라이트 켜는 레버 위치와 키는 방법이 같으며 수입 차량들은 라이트 켜는 법은 같지만 라이트 레바의 위치와 스위치가 조금 다릅니다.





자동차 헤드라이트 켜는법은 키고자 하는 등 위치로 깜빡이 레버의 끝 부분을 돌리거나 깜빡이 레버에 표시된 라이트 방향으로 밀면 라이트를 켤 수가 있습니다. 상향등 켜는법은 라이트 레바를 계기판 쪽으로 밀면 상향등이 켜지고 쌍라이트 끄는 법은 다시 몸 쪽으로 당기면 원위치가 되며 라이트가 꺼지게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깜빡이와 라이트 레버가 한 곳에 있는 차량들은 대부분의 국산 차량들이며 아반떼 md, 아반떼 ad, 아반떼 cn7, 엑센트, nf소나타, yf소나타, lf소나타, 소나타 dn8, 그랜져 hg, 그랜져 ig, 더뉴그랜저 ig, 그랜저 gn7, 제네시스 g70, g80, g90, gv60, gv70, gv80, 싼타페 dm, 싼타페 tm, 투싼 ix, 올뉴투싼, 투싼 nx4, 베라크루스, 벨로스터, 코나, 디올뉴코나, 코나 ev, 베뉴,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그랜드스타렉스, 스티리아, 포터 2, 팰리세이드, 더뉴팰리세이드, ev6, 니로, 니로 ev, 올뉴모닝, 레이, 올뉴 k3, k5, k7, k8, k9, 쏘렌토 r, 올뉴쏘렌토, 쏘렌토 mq4, 모하비, 올뉴카니발, 카니발 mq4, 봉고 3, 스토닉, 스포티지 r, 올뉴스포티지, 스포티지 nq5, 마티즈, 스파크, 뉴 sm3, sm5, sm7, sm6, qm6, 렉스턴스포츠, 뷰티풀코란도, 티볼리 등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이얼을 돌려서 라이트를 켜거나 끄는 차량들은 대부분 수입차들에게 적용되어 있으며 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bmw, 쉐보레 넥스트스파크, 더뉴스파크, 올뉴크루즈, 올뉴말리부, 올란도, 알페온, 아베오, 트렉스, 트레일블레이저 등등이 있으며 라이트 켜는 방법은 키고자 하는 등의 위치로 다이얼을 돌리면 라이트를 켤 수 있으며 상향등 켜는 법과 끄는 법은 레바 타입의 차량과 동일합니다.

또한, 안개등 스위치에 안개등 표시가 보이지 않는다면 안개등이 없는 차량으로 데이라이트만 장착되어 있는 차량들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라이트 종류와 표시 상황에 맞게 키는 법

자동차 헤드라이트 종류는 전조등 (상향등, 하향등), 안개등, 미등으로 구분됩니다.

  • 자동차 오토라이트 모드

자동차 라이트 스위치의 레버를 보면 auto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레바를 오토 표시로 돌려도 다른 자동차 라이트 표시와는 다르게 계기판에 표시가 되지 않는 점 참고하시고요. 이 오토 표시는 오토라이트 모드로 날이 약간 흐리거나 어두워지면 미등 점등을 많이 어두워지거나 야간이 되면 전조등점등을 자동으로 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오토라이트 모드가 있는 차량이라면 오토 모드에 둔다면 길거리에서 가끔씩 볼 수 있는 위험한 스텔스 차량이 되는 일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자동차 라이트 종류와 어떻게 계기판에 표시가 되는지 또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라이트를 사용해야 적절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 미등 표시

라이트 레버를 미등 표시로 돌리면 계기판에도 동일한 모양의 표시가 녹색으로 점등됩니다.





자동차 미등을 켜면 제일 약한 불빛으로 자동차 실내의 각종 버튼들과 후방 테일램프, 번호판등, 차폭등이 점등됩니다. 내 차량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켜는 등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요즘은 차폭등 대신 데이라이트가 설치된 차량들이 대부분으로 데이라이트만 켜진 상태인데도 광량이 풍부해 스텔스 차량이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데이라이트는 라이트를 켜면 밝기가 약해지며 끄는 방법은 정차 후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우면 꺼집니다.




  • 자동차 안개등(후방안개등) 표시

자동차 미등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라이트 레버 스위치를 안개등 표시로 돌리면 계기판에도 동일한 표시로 왼쪽 방향을 향해 바라보는 듯한 모양과 녹색 컬러로 점등됩니다.





자동차 후방안개등 또한 마찬가지로 라이트 레버를 후방안개등 표시로 돌리면 계기판에도 동일한 표시로 오른쪽 방향을 향해 바라보는 모양과 주황색 색깔로 점등됩니다.





자동차 안개등과 후방 안개등은 날씨가 흐리거나 안개가 심하게 낀 날씨에 내 차량의 위치를 알리기 의한 등화인데 가끔 보면 야간에 더 넓은 시야 확보를 위해 하향등과 안개등을 동시에 키고 다니는 운전자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개등은 전조등과 달리 빛이 확산되어 점등이 되기 때문에 눈부심이 심해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는 눈이 상당히 부셔 운전에 방해가 됩니다. 안개등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등이 아니란 점 꼭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 자동차 전조등(하향등) 표시

라이트 스위치를 미등 표시 상태에서 한번 더 돌려 하향등 상태가 되면 계기판에는 화살표가 아래쪽 방향을 향해 빛을 쏘는 듯한 모양으로 하향등 표시가 녹색으로 점등됩니다. (자동차 하향등 표시는 차량에 따라 점등이 되지 않는 차들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조등은 야간 운행 시 기본으로 켜야 하는 등화류로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물론 내 차량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켜는 등화입니다. 가끔 자동차 라이트를 켜지 않고 운행하는 스텔스 차량들이 있는 반면상향등과 하향등을 동시에 켜고 다니는 차량들을 볼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전조등은 하향등으로 주행을 해야 상대방이 눈뽕 없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으니 꼭 전조등 위치를 확인하고 운행하시길 바랍니다. 기본 매너는 지켜야죠.




  • 자동차 전조등(상향등, 쌍라이트) 표시

자동차 전조등 하향등이 켜져 있을 때 라이트의 레버를 계기판 쪽으로 밀면 상향등을 켤 수가 있습니다. 이때 계기판에는 앞쪽 방향으로 빛이 향하는 모양의 상향등 표시가 파란색 컬러로 점등이 됩니다. 상향등 끄는 법은 자신의 몸 쪽으로 라이트 레버를 당기면 끌 수 있습니다.





자동차 상향등은 하이빔이나 쌍라이트라고도 불리며 자동차 라이트 중 가장 밝은 빛의 광량을 가진 등화로 외진 길이나 도로가 어둡고 하향등으로 보이지 않는 시야를 더 멀리 볼 수 있게 해주는 등입니다. 일반 도로에서 자동차 상향등을 켜면 반대편 차선 차량들이나 바로 앞차의 시야를 방해해 사고로도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꼭 마주 오는 차량이 없는 상황에서 전방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상향등을 사용해 주시길 바라며 골목길이나 코너 부분등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의 다른 차량에게 신호를 줄 때 상향등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는 점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